반응형
산불 피해 기부 방법 (2025년 기준)
1.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
가장 대표적인 재난 구호 전문기관으로, 산불·수해·지진 등 긴급 재난 상황 시 가장 빠르게 현장 지원에 나섭니다.
- 홈페이지: https://relief.or.kr
- 기부 방법:
- 온라인 간편 기부 (네이버/카카오페이/카드/무통장 등)
- ARS 기부: 📞 1544-9595 → 통화료 + 1회 3,000원 자동 기부
- 계좌이체: 우리은행 1005-302-971173 (예금주: 희망브리지)
2. 사랑의열매 (사회복지공동모금회)
재해 구호뿐 아니라 이재민의 장기적인 복지 지원까지 진행하는 기관입니다.
- 홈페이지: https://chest.or.kr
- 기부 방법:
- 온라인 기부 (신용카드/카카오페이/계좌이체 등)
- 정기기부 또는 일시기부 선택 가능
- 기부자 이름 공개 여부 선택 가능
3. 대한적십자사
긴급 구호 물품, 응급 의료, 심리 치료 등 현장 밀착형 지원을 전문으로 합니다.
- 홈페이지: https://www.redcross.or.kr
- 기부 방법:
- 후원 → 특별재난 기부 → ‘산불’ 선택
- 자동이체 / 신용카드 / 무통장입금 가능
4. 네이버 해피빈 / 카카오같이가치
쉽고 간편하게 모바일로 기부할 수 있으며, 작은 금액도 모여 큰 힘이 됩니다.
- 네이버 해피빈: https://happybean.naver.com
→ ‘산불’, ‘이재민’, ‘긴급구호’ 등 검색 - 카카오같이가치: https://together.kakao.com
→ 같이기부 → 산불 캠페인 클릭
5. 기부 물품 보내기 (자원봉사 포함)
- 가전, 생필품, 의류, 이불 등 물품기부는 각 지역 자원봉사센터 또는 희망브리지에 사전 문의 후 발송
- 자원봉사 참여:
- 전국 자원봉사포털: https://www.vms.or.kr
- 직접 산불 피해 현장 지원 신청 가능
※기부 시 유의사항
✅ 공식 단체 이용 | 개인 계좌나 출처 불명 링크는 주의하세요. |
✅ 기부 영수증 발급 가능 | 연말정산/소득공제용으로 활용 가능 |
✅ 기부 내역 보관 | 금액, 날짜, 기부처 기록해 두기 |
✅ 사칭 주의 | 유명인 이름 도용한 사기 링크에 주의하세요 |
🙏한 사람의 기부가 한 사람의 삶을 바꿉니다
산불 피해는 눈에 보이지 않는 트라우마, 생계 단절, 공동체 파괴로 이어지기 쉽습니다.
소액의 기부라도 긴급 복구, 이재민 보호, 생계 지원, 아이들의 심리 회복 등에 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.
2025 산불 피해 지원 현황 (4월 기준)
1. 정부 및 지자체 지원
📌 긴급 재난 지원금 지급
- 경남 산청 이재민 기준:
- 주택 전파: 최대 1,600만 원
- 반파: 800만 원
- 임시 주거시설 입주 지원(최대 6개월간 월 40만 원 수준)
📌 생계 및 의료비 지원
- 기초생활수급자 포함 이재민 대상 생계비 월 100만 원 내외
- 의료비 본인부담금 면제 및 의료진 파견
📌 피해 복구비 편성 (정부 + 경상남도)
- 산불 진화 후 복구 예산 약 200억 원 편성 (중앙정부+도비)
- 농가 및 축사 복구, 산림 복원 포함
📌 생활지원
- 급식 차량 지원, 생수·방역물품 지원
- 임시 거주용 컨테이너 주택 설치 중
2. 민간 단체 및 기관 지원
🌐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
- 1차 긴급 구호키트: 2,500세트 배포 (의류, 세면도구, 식량 포함)
- 긴급 기부금 모금: 30억 원 이상 모금 중 (4월 기준)
- 현장 자원봉사 인력 파견: 1,000명 이상 참여
🎗️ 사랑의열매
- 심리치료 및 재난 회복지원 상담팀 운영
- 아동 및 노인 대상 후원금 지급: 1인당 50~100만 원
- 지역 아동센터·복지관 연계 복구활동
🩺 대한적십자사
- 응급처치 키트 및 구호천막 설치
- 이동진료소 운영 (간호사, 임상심리사 포함)
- 재난현장 전담 요원 70명 파견
3. 기업 및 연예인 기부 및 후원
📌 연예인 기부
- 유재석, 아이유, 수지, 박서준, 김고은, 전지현 등 수천만~1억 원 기부
- 팬덤 단체기부: NCT, 세븐틴, BTS 팬덤 등이 공동 기부 참여
📌 대기업 지원 현황
- 쿠팡: 생필품 긴급 지원 (생수, 전기레인지 등 5억 원 상당 물품)
- 삼성전자: 10억 원 기부 + 임직원 봉사단 파견
- LG그룹: 이재민 대상 전자제품 무상 제공 (TV, 냉장고, 세탁기 등)
- 현대자동차그룹: 구호차량 제공 + 주거비 1억 기부
4. 이재민 생활 안정 현황
🛏️ 임시주거 | 체육관, 마을회관, 컨테이너 주택 등 설치 |
🍱 급식지원 | 대한적십자사 & 자원봉사센터에서 1일 3식 제공 |
🧠 심리상담 | PTSD 예방 위한 전문상담사 배치 |
💼 생계지원 | 구호비 외에도 재난특례근로 및 소액 창업 지원 검토 중 |
향후 과제
- 피해 복구 장기화에 대비한 지속적 지원 체계 구축
- 산림 복원, 주거 대체지 선정 문제 해결
- 이재민의 심리 회복 및 생계 재건 위한 중장기 계획 필요
- 민간과 정부 협력 강화 (CSR 참여 기업 확대)
반응형